만성 콩팥병이 진행하여 콩팥의 기능이 정상의 15% 미만으로 낮아진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말기 신부전이라고 합니다. 콩팥 기능의 저하로 인해 혈액 속에 노폐물이 쌓이고 부종이 발생하므로 콩팥의 기능을 대체할 치료가 필요합니다. 콩팥의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에는 투석과 신장 이식이 있습니다. '투석'이란 혈액 속의 과도한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습니다.
복막투석은 혈액투석과 달리 주사바늘로 찌를 필요가 없습니다. 투석을 할 수 있는 공간만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스스로 투석을 할 수 있습니다. 자주 병원을 방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혈액투석에 비해 좀 더 자유롭고 독립적입니다. 그러나 치료 방법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의료진과 긴밀한 의사소통을 유지해야 오래 지속할 수 있습니다.

대한복막투석연구회는 복막투석 환자의 진료 및 치료지침 발간, 다양한 임상, 유전체, 병태생리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국내외 대한복막투석 전문가들의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복막투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비교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탈)

구분 혈액투석 복막투석
수술(통로) - 투석을 시작하기 전에, 팔에 혈관 장치인 동정맥루를 만들어야 함. - 동정맥루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으로 혈액투석을 하려면 목이나 어깨의 정맥에 플라스틱관을 삽입 - '복막투석 도관'이라고 하는 가는 관을 복강 내에 삽입하는 수술을 함 - 이 도관은 영구적으로 복강내에 남아 있음
방법 - 인근 혈액투석실(병, 의원)에서 보통 일주일에 3회, 매회당 4-5시간 동안 시행 - 집이나 회사에서 투석액을 교환 - 대부분의 환자들은 하루에 3-4회, 6-8시간마다 교환함 - 새로운 투석액을 복강내에 주입 - 약 6시간후에 투석액을 빼고 새 투석액으로 교환(30분 정도 걸림) - 자동복막 투석의 경우 자는 동안(8-10시간 정도)에만 기계가 자동적으로 투석액을 교환
장점 - 병원에서 의료진이 치료해 줌 - 자기 관리가 어려운 노인이나 거동 불편한 사람에게 가능 - 주 2-4회 치료 - 동정맥루로 투석을 하는 환자는 통목욕이 가능 - - 주사바늘에 찔리는 불안감이 없음 - 한 달에 1회만 병원 방문 - 혈액투석에 비해 신체적 부담이 적고 혈압조절이 잘 됨 - 식사제한이 적음 - 교환 장소만 허락되면 일과 여행이 자유로움
단점 주 2-3회 투석실에 와야 하므로 수업이나 직장생활에 지장 - 식이나 수분의 제한이 심함 - 빈혈이 좀 더 잘 발생 - 쌓였던 노폐물을 단시간에 빼내므로 피로나 허약감을 느낄 수 있음 - 하루 2-4회 청결한 환경에서 투석액을 갈아주어야 하는 점이 번거로움 - 복막염이 생길 수 있음 - 복막투석 도관이 몸에 달려 있어 불편 - 간단한 샤워만 가능하며 통목욕은 불가능